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금

민생회복 소비쿠폰 A to Z: 신청부터 사용처, 혜택 총정리!

by 가라토스 2025. 7. 7.
300x250
반응형

최근 정부에서 정부는 7월 5일(토)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개최하고,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신청·사용 기간 등 지급 방안을 담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계획」을 발표했다.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소식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소비쿠폰의 개념부터 지급 일정, 사용 방법, 신청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 A to Z: 신청부터 사용처, 혜택 총정리! >

 
 

       민생회복 소비쿠폰이란?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경제 회복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 중 하나로, 국민들이 소비를 통해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이 소비쿠폰은 저소득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에게 지급되며, 소비를 촉진하여 지역 경제를 살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소비쿠폰 지급 일정 및 금액

소비쿠폰은 2025년 7월 21일부터 지급이 시작됩니다. 지급 금액은 개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며, 기본적으로 1인당 15만 원에서 최대 55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차상위계층과 한부모가족은 3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40만 원이 지급됩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alt=&quot;소비쿠폰 지급 일정 및 금액&quot;
< 소비쿠폰 지급 일정 및 금액 >

 지원대상

  • 전 국민 대상으로 지급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계획의 발표일 전일인 2025년 6월 18일(수)을 기준으로, 국내에 거주 중인 대한민국 국민에 지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지원금액

  • 1인당 15 ~ 55만 원, 소득별 맞춤형 지원 및 단계적 지급
  • 1차 지원금액은 전 국민 1인당 15만 원을 기본으로 하되, 소득별 맞춤형 지원을 위해 차상위계층과 한부모가족은 1인당 3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는 1인당 40만 원으로 결정됐다. 2차 추가 지급 10만 원
  • 이와 별개로,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 주민에게는 3만 원,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어촌 인구감소지역(84개 시·주민에 대해서는 5만 원을 추가로 지급해, 소비쿠폰이 우리 경제의 회복과 함께 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사업을 설계했다.

alt=&quot;출처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안내 (행정안전부)&quot;
<출처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안내 (행정안전부) >

 신청 및 지급 기간

  • 1차 : 2025.07.21.(월) ~ 09.12.(금)
  • 2차 : 2025.09.22.(월) ~ 10.31.(금)
반응형


 

        소비쿠폰 사용 방법

소비쿠폰은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 편의점, 음식점 등에서 사용 가능하며, 대형마트나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용 가능한 장소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alt=&quot;소비쿠폰 사용 방법&quot;
< 소비쿠폰 사용 방법 >

✅ 사용처

  • 지역사랑상품권 :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 신용・체크・선불카드 : 연 매출액 30억 원 이하 매장
 
 

       신청 방법 및 자격 요건

소비쿠폰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하며, 신청 기간은 2025년 7월 21일부터 9월 12일까지입니다. 신청을 위해서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가 필요하며, 자격 요건은 주민등록상 주소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은 아래 이미지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alt=&quot;신청 방법 및 자격 요건&quot;
< 신청 방법 및 자격 요건 >

신청방법 및 지급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소비쿠폰을 신청할 수 있으며,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해 지급받을 수 있다.

    ▶  오프라인 : 제휴은행 영업점, 읍면동 주민센터

  •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기준일 당시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지방자치단체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2006년 12월 31일 이전에 출생한 성인은 개인별로 신청하고 지급 받을 수 있다.
  • 지급 대상자인 국민은 오는 7월 21일(월) 오전 9시부터 9월 12일(금) 오후 6시까지 (은행 영업점은 오후 4시까지) 운영된다.
  •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수령을 원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또는 주민센터, 읍·면사무소)를 방문하면 소비쿠폰 신청과 수령이 가능하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은 7 21일부터 약 8주간 진행되어, 9월 12일(금)을 끝으로 신청과 지급이 종료되므로, 소비쿠폰을 지급받고자 하는 국민은 반드시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한다.

       온라인 : 카드사・지역사랑상품권 홈페이지, 앱, 콜센터, ARS

  • 7월 21일(월) 오전 9시부터 9월 12일(금) 오후 6시까지
  • 신청기간 중 24시간 신청이 가능하고, 오프라인 신청은 같은 기간 중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시스템 점검시간(23:30 ~ 익일 00:30) 제외
  •  먼저, 신용·체크카드 지급을 원하는 국민은 자신이 이용 중인 카드사의 누리집이나 앱, 콜센터와 ARS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카드와 연계된 은행영업점을 방문(09:00~16:00)해 신청할 수 있다.
  •  9개 카드사(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 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BC카드)
  • 9개 카드사 앱 외에,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토스뱅크), 카카오페이 간편 결제,간편결제 네이버페이 간편 결제간편결제 앱을 통해서도 신청가능
  • KB국민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 기업은행, SC제일은행, IM뱅크, 수협은행, 새마을금고, 우체국 예금,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제주은행, 전국 저축은행(체크카드 취급점) 및 농협, 축협, 신협
  • 신용·체크카드는 신청한 다음 날 소비쿠폰이 지급되며 기존의 카드포인트와 구별되고, 사용 가능한 매장에서 해당 신용·체크카드로 결제할 경우 소비쿠폰 사용이 일반 카드결제에 우선해 사용되며, 사용 후에는 문자메시지, 앱 알림 서비스 등을 통해 소비쿠폰 잔액이 안내된다.

     * 알림 여부 및 방식은 카드사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 필요

  •  모바일 또는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지급을 희망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랑상품권 앱 또는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한 다음 날 지급될 예정이다.
  • 온·오프라인 모두 신청 첫 주에는 혼잡 및 시스템 과부하를 막기 위해 출생 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요일제*가 적용되며, 오프라인의 경우 지역 여건에 따라 요일제 적용이 연장될 수 있다.

     (끝자리 1,6 / () 2,7 / () 3,8 / () 4,9 / () 5,0 / (주말모두 신청가능

✅ 추가정보

  •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를 신청한 국민은 지급금액, 신청기간과 방법, 사용기한 및 지역 등 맞춤형 정보를 미리 안내받을 수 있다.
  •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는 오는 7월 14일(월)부터 네이버앱, 카카오톡, 토스 및 ‘국민비서 누리집(https://ips.go.kr)’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1차 지급 시작보다 앞선 7 19()에 관련 내용을 안내받을 수 있다.
  •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등 접근성이 낮은 국민의 편의를 위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방문해 신청을 접수하고 소비쿠폰을 지급하는 ‘찾아가는 신청’도 운영해, 사각지대 관리에 소홀함이 없게 준비할 예정이다.

✅ 사용기한

  • 2025.11.30.(일)까지
728x90
 
 

       소비쿠폰의 기대 효과

이번 소비쿠폰 제도가 시행되면, 소비자들은 경제적 부담을 덜고, 지역 상점과 시장의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결국 지역 경제의 활성화로 이어져, 더 많은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입니다.

alt=&quot;소비쿠폰의 기대 효과&quot;
< 소비쿠폰의 기대 효과 >

사용업종 및 지역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역 민생경제 회복에 기여하고 지역 내 소상공인에게 힘이 될 수 있도록 사용 지역을 주소지 관할 지방자치단체로 제한한다.

  특별시 또는 광역시 주민은 해당 특별시·광역시에서, () 지역 주민은 주소지에 해당하는 시·군에서 사용할 수 있다.

□ 한편, 사용처 및 업종은 영세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취지를 살리면서도, 사용자인 국민이 각자의 소비 성향과 여건에 따라 선택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했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매장에는 안내 스티커 부착 예정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지급받은 국민은 기존에 구매한 지역사랑상품권과 마찬가지로 주소지 관할 지자체에 소재한 모든 가맹점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특히, 상품권을 사용하는 주민의 편의를 고려하여 관내에 마트, 슈퍼, 편의점 등 유사 업종이 없는 면() 지역에 한해, 하나로마트를 상품권 사용처에 포함했다(약 125개소).

  신용·체크카드 또는 선불카드로 지급받은 국민은,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 연 매출액이 30억 이하*인 소상공인 사업장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등록요건인 매출액 기준과 동일

   - 사용이 제한되는 업종은 대표적으로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백화점 및 면세점, 온라인 쇼핑몰·배달앱*, 유흥·사행업종, 환금성 업종 등이 해당되며, 일반적인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가능 업종과 유사한 수준이다.

     * 가맹점 자체 단말기를 사용하여 대면 결제(‘만나서 결제’ 방식 등)하는 경우 사용 가능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11 30()까지 약 4개월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 환수될 예정이다.

 

<신용·체크카드 및 선불카드 사용처>

 (신용・체크・선불카드 참여사) 롯데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우리 카드,하나카드, 현대카드, BC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사용처

  연 매출액 30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업종(전통시장·동네마트, 식당, 의류점, 미용실, 안경점 등)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기준에 부합하는 () 지역 하나로마트 일부

 ○ 의무복무 군인이 나라사랑카드(KB, BC카드)로 지급받은 경우 사용지역 관계없이 PX 허용

□ 사용 제한 업종

연번 업종 브랜드
1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 창고형 매장 ▸대형마트 :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기업형 슈퍼마켓 : 이마트 에브리데이, 노브랜드, 롯데슈퍼, 롯데마켓999, 지에스 더 프레시, 킴스클럽, 농심 메가마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등
▸창고형 매장 : 코스트코, 이마트 트레이더스 등
2 백화점 ▸롯데, 현대, 신세계, 갤러리아, AK플라자, NC백화점 등
3 온라인 전자
상거래(PG업종)
▸온라인 쇼핑몰, 배달앱 등 온라인(앱) 거래 업체
4 대형 외국계 매장 ▸이케아, 샤넬, 애플스토어 등
5 프랜차이즈 직영점 ▸스타벅스(직영 100%) 등 직영 형태의 프랜차이즈 매장
6 대형전자판매점 ▸하이마트, 전자랜드, 삼성디지털프라자, LG전자베스트샵,
일렉트로마트 등
7 유흥업종 ▸일반 유흥주점, 무도 유흥주점
8 사행업종 ▸카지노, 복권방, 사행성 오락실
9 상품권 업종 ▸상품권 판매점
10 귀금속 업종 ▸귀금속 판매점
11 비소비성 지출 ▸세금 : 국세, 지방세, 관세
▸전기·가스·상하수도 요금, 아파트 관리비
▸범칙금, 과태료, 벌과금
▸개인연금, 선불카드 충전액 등
12 면세점 업종 ▸롯데, 현대, 신세계, 신라, 동화, 제주 등
13 보험업(4대보험) ▸생명보험, 손해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14 무승인매출/
배치승인(통신료)
▸교통‧통신료 등 카드자동이체 건

 

< 이의신청 및 신속 처리 >

 지급대상자 선정 결과에 이의가 있는 국민을 위한 이의신청 및 처리 절차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의신청은 국민신문고(https://www.epeople.go.kr)를 통한 온라인 접수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또는 주민센터, ·면사무소)를 통한 오프라인 접수가 모두 가능하며, 소비쿠폰 신청과 마찬가지로 첫 주에는 요일제가 적용된다.

   - 접수된 이의신청은 지방자치단체의 심사를 거쳐 처리가 완료되면 개별적으로 통보될 예정이다.

 
 

       자주 묻는 질문(FAQ)

  1. 소비쿠폰은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나요?
    • 소비쿠폰은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곳은 어디인가요?
    •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마무리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경제 회복을 위한 중요한 정책으로, 많은 국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정부의 공식 발표와 함께 소비쿠폰에 대한 정보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니,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소비쿠폰에 대한 궁금증이 해소되셨나요? 이번 기회를 통해 많은 분들이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

 

이런 자료를 참고했어요.

[1] 행정안전부 - 민생회복 소비쿠폰 7월 21일 지급 시작 - 보도자료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18705)

[2] 행정안전부 - 민생회복 소비쿠폰 7월 21일 지급 시작 (https://www.mois.go.kr/synap/skin/doc.html?fn=BBS_2025070511000313601&rs=/synapFile/202507/&synapUrl=%2Fsynap%2Fskin%2Fdoc.html%3Ffn%3DBBS_2025070511000313601%26rs%3D%2FsynapFile%2F202507%2F&synapMessage=%EC%A0%95%EC%83%81)

[3] 연합뉴스 - "나는 얼마 받을 수 있나?"… 민생회복 소비쿠폰 'Q&A' (https://www.yna.co.kr/view/AKR20250705023900530)

[4] 조선일보 - '1인당 15만원' 전 국민 소비쿠폰 21일 지급 시작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5/07/05/QR4TFVXCOVBUBJT3WAP4N24GUE/)

300x25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